트렌드 세상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트렌드 세상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47)
    • 트렌드 (195)
    • 경제이슈 (37)
    • IT (1)
홈태그방명록
  • 트렌드 195
  • 경제이슈 37
  • IT 1

검색 레이어

트렌드 세상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직장갑질

  • 직장내 괴롭힘 금지법 모르는 사람 비율은?

    2020.07.13 by routinereview

  • 직장갑질과 직장내 괴롭힘 대처법은

    2020.07.01 by routinereview

  • 직장갑질에서 살아남기

    2020.06.16 by routinereview

직장내 괴롭힘 금지법 모르는 사람 비율은?

1. [폭행] 상사가 갑자기 사무실 문을 닫더니 소리를 질렀습니다. “어디 눈깔을 뜨고 지랄을 해? 한 대 확 패버릴까?”라며 욕설을 하더니 책을 집어던져 몸에 맞았습니다. 다른 직원들이 보고 있는 상황에서 벌어진 일이었습니다. 그날 이후 정신과에 다니며 약을 먹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표에게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해 도움을 요청했더니 사업주는 근무지 분리나 유급휴가를 주기는커녕 제가 잘못한 것처럼 말하며 상사를 공손하게 대하라고 했습니다. 직장 내 괴롭힘의 경우에는 거의 없다고 하는데, 폭행죄나 모욕죄로 경찰에 신고하는 게 나을까요? (직장인 A씨) 2. [폭언] 회사 상사 때문에 팀원 전원이 그만뒀다는 말을 들었지만, 이 정도인 줄을 몰랐습니다. 상사는 그냥 말도 안 되는 핑계로 욕설을 합니다. 밑에 ..

카테고리 없음 2020. 7. 13. 10:26

직장갑질과 직장내 괴롭힘 대처법은

폭언(직장인 A 씨) 월급을 300300만 원 받기로 하고 입사했습니다. 근로계약서를 쓰자고 하자 알았다고 하면서 차일피일 미뤘습니다. 몇 달이 지나고 월급을 200200만 원만 주겠다고 했습니다. 계약조건과 다르다고 문제를 제기하자, 상사가 “나는 무서울 게 없는 사람이야”라며 고함을 치고 위협을 했습니다. “말끝마다 토를 달지 마.”라고 반말을 하면서 호칭을 사용하지 않고 계속 ‘당신’, ‘네가’너가’ 이런 식으로 발언을 하였습니다. “아니 지금 장난하는 거야 뭐야, 애들 데리고 장난치는 거야”라고 화를 내며 소리를 치치더니 떠들지 마. 멀 알고 떠들어. 욕 나오네 XX. 개뿔이, XX 몇 번씩 이야기해야 되는 거야. 뭔 말이 많아. XX, 욕밖에 안 나오네“라며 폭언과 욕설을 퍼부었습니다. 그날 이..

트렌드 2020. 7. 1. 10:30

직장갑질에서 살아남기

직장 갑질에서 살아남기 임금 꼼수, 무한야근무한 야근, 은따왕따, 직장인 미투, 황제의전, 고로나 갑질... 직장인을 울리는 갑질이 넘쳐난다. 직장인 7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를 보면, 10명 가운데 7명이 갑질을 당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굳이 신문과 뉴스에서 보도되는 극적인 사례를 찾지 않더라도 대한민국에서 피가 거꾸로 솟는 듯한 억울함을 당해보지 않은 직장인이 몇이나 될까? 직장갑질이란 말은 이제 우리 사회에서 보통명사가 됐다. 2017년 11월 1일 갑질당한 직장인들이 부담 없이 도움을 얻을 수 있는 민간 공익단체 직장 갑질119가 첫발을 떼었다. 노무사, 변호사, 노동전문가 140명으로 꾸린 스태프가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과 이메일로 무료 법률상담을 해준다. 하루 평균 100여건의 제보가 접수되고 ..

경제이슈 2020. 6. 16. 15:22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트렌드 세상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